정부, 일관된 탄소중립 정책기조… 인천시·시민단체도 "폐쇄" 강조
발전본부, 전력공급 차질 우려 속 "산업부 계획 따를 것" 결정 미뤄

인천 영흥화력발전소 전경. 사진=연합 자료
인천 영흥화력발전소 전경. 사진=연합 자료

영흥발전본부는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기조와 인천시·시민사회단체의 ‘영흥화력발전소 1·2호기 조기 폐쇄’ 주장에 난감해 하면서 이들의 눈치만 살피고 있는 모습이다.

20일 영흥발전본부에 따르면 영흥화력발전소 내 6개 발전기의 사용종료 시기는 1·2호기가 2034년, 3·4호기는 2038년, 5·6호기는 2044년이다.

영흥화력발전소는 한 시간에 800MWh의 전력을 생산하는데, 발전소를 하루 24시간 가동할 경우 하루 발전량이 1만9천200MWh이다.

이는 수도권 전력 사용량의 20%를 차지한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정부는 오는 2050년까지 석탄이나 석유 등의 화석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등 가능한 탄소 배출을 줄이고, 배출된 탄소를 흡수하거나 그 이상으로 청정 에너지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탄소의 실질 배출량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을 갖고 있다.

인천시는 영흥화력발전소가 인천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49%를 차지한다며, 영흥화력발전소를 조기 폐쇄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시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영흥화력발전소 1·2호기의 폐쇄 시기를 2034년에서 2030년으로 4년을 앞당길 것을 대선 공약에 포함시켜달라고 대선 후보들에게 요청한 상태다. 하지만 정부와 시는 1·2호기를 폐쇄하고 대체할 전력을 확보할 방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영흥발전본부도 1·2호기 조기 폐쇄 주장에 대해 전세계적인 흐름에 따라 어느 정도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이면서도, 조기 폐쇄 했을 경우 실질적으로 전력 공급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을 염려하고 있다.

1·2호기를 대체할 가스발전소를 지어야 하는데, 규모가 어느 정도 돼야 하는지 예상하기가 어렵고 이에 따라 구체적인 계획조차 세워지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영흥발전본부는 산업부가 1·2호기 조기 폐쇄를 결정할 권한을 갖고 있는 상황에서 산업부의 결정만 기다리고 있다.

영흥발전본부 관계자는 "인천시와 시민단체 등이 1·2호기 조기 폐쇄에 대한 의견을 내는 것은 전세계적인 흐름이라 이에 대한 의견을 밝힐 입장은 아니다"며 "하지만 1·2호기가 문을 닫으면 이를 대체할 가스발전소가 필요한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 없이 조기폐쇄 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영흥발전본부가 1·2호기 조기 폐쇄를 결정할 권한도 없는 상황에서 산업부의 계획에 따라 맞춰갈 수 밖에 없다"며 "산업부의 결정에 따라 달린 것"이라고 덧붙였다.

백승재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