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에도 목표미달, 신재생 보급율 8.11% 불과한데 ...시는 2030년 35.7% 목표 '근거없는 자신감'만

해상풍력발전소 운영 기업 '오스테드'가 인천 앞바다에 조성 예정인 해상풍력발전단지 예시도. <사진=인천시 제공>
해상풍력발전소 운영 기업 '오스테드'가 인천 앞바다에 조성 예정인 해상풍력발전단지 예시도. <사진=인천시 제공>


앞으로 7년 간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35.7%'까지 끌어올려 오는 2045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인천시 계획에 적신호가 커졌습니다.

인천 연안과 송도에서 추진해온 해상풍력과 수소연료발전소 등 대형 신재생에너지 사업이 주민 반발에 부딪혀 잇달아 보류됐거나 좌초위기에 놓였기 때문인데 해가 바뀌어도 뚜렷한 대책은 없는 실정입니다.

13일 경인방송 취재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인천의 전력발전량은 총 6만506GWh로 집계됐으나, 이 중 태양광·풍력·수소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전체의 3.34%에 불과한 2천20GWh에 그쳤습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실제 인천시민들이 사용한 전력소비량(2만4천901GWh)으로 나눈 값인 '보급률'은 8.11%. 당시 설정한 목표치가 11.2%인 것으로 보면 목표에 미달한 겁니다.

하지만 유정복 시장은 최근 '2045 탄소중립 비전'을 발표하면서 '온실가스 배출 제로화'를 위해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35.7%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연차별 보급률 달성 목표는 올해 11.64%, 2025년 17.76%인데, 앞으로의 전력소비량이 같다고 가정할 때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2021년보다 5배 가량 확대하겠다는 겁니다.

문제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의 가장 핵심적인 '수소연료전지'와 '(해상)풍력' 사업이 주민 수용성 문제로 발목이 잡혀있다는 것.

실제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위원회는 지난해 말 개최한 심의에서 연수구 송도와 남동구에 각각 들어설 '송도그린연료전지'와 '남동하이드로젠밸리 연료전지' 사업 허가를 보류했는데, 이는 1년여에 걸친 주민설명회와 협의체 구성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의 입지 반대 요구가 사그라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들 두 발전소의 설치용량은 각각 100MW(메가와트), 19.8MW로 현재 운영 중인 용량 153MW와 맞먹는 규모입니다.

신재생에너지원별 발전량에서 수소연료전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64.8%에 달합니다.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구축이 늦춰질수록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35.7% 달성은 요원할 수밖에 없는 겁니다.

해상풍력 에너지 또한 계획상으로는 현재 설치용량 49MW보다 수십 배가 큰 단지가 인천 앞바다에 조성돼 2025년부터는 발전량이 수십 배 이상 늘어날 예정입니다. 그러나 오스테드(1천600MW), OW코리아(1천200㎿), 한국남동발전(640㎿), C&I레저산업(233㎿) 등이 추진하는 사업이 어민 반발에 부딪혀 잇달아 제동이 걸렸습니다.

해상풍력과 수소연료전지를 제외한 태양광·바이오·소수력·폐기물 등 나머지 신재생에너지 사업 분야는 발전량이 현재 수준(전체 공급량의 30%)에서 크게 늘지 않을 전망입니다. 결국 보급률 35.7% 달성을 위해선 수소연료전지와 해상풍력 발전소 구축이 가장 중요하다는 얘기입니다.

정부가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사업소의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비율(RPS)을 올해 기준 14.5%에서 13%로 하향 조정한 점도 악재로 작용할 우려가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각 발전소의 신재생에너지 수요가 줄어 전체적인 공급(신재생에너지 발전량)도 함께 줄어들 공산이 큽니다.


하지만 시는 "계획대로라면 신재생에너지 보급률 목표 달성은 충분하다"며 다소 원론적인 답변으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시 관계자는 "해당 목표는 현재 주민 반발이 심한 사업을 배제하고 예측한 수치고, 목표치를 상회할 가능성도 높다"며 "주민들을 설득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고, 정부와 함께 관련 용역도 추진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저작권자 © 경인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